티스토리 뷰

일반적으로 컴퓨터 과학 및 공학과와 전자/통신 공학부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한다. 

하지만 네트워크와 관련된 일 또는 연구를 하는 사람이 아니라면,  Layer별로 스위치와 패킷에 대한 관심을 잘 가지지 않는것이 일반적이다. 

저자만 그럴 수도있지만, 대부분의 사람들은 네트워크? "몰라, 그냥 인터넷만 되면 되는거아냐?" 이런식으로 생각하고 넘어가는것이 일반적인 일이다. 

하지만, 저자가 네트워크와 관련된 일, 엄밀히 말하면 스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(SDN: Software Defined Networking)을 시작하여 이런 글을 남길 수도있다.

이 글의 취지는, 네트워크에 대해 잘 모르거나 스위치별로 하는역할과 스위치별로 처리하는 패킷에 대한 정보를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한다.

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스위치,라우터란 말을 많이 듣는다. 

스위치가 하는일은 무었일까? L2,L3는 뭐지? 



L은 Layer를 뜻한다. 뒤의 숫자는 층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. 정확한 정보를 알고싶다면 OSI Layer 7계층에 대해 간략히 공부하기를 바란다.

프로토콜 종류

  • L2(Layer 2) : 2게층 - 데이터링크계층을 계층을 의미함 (Ethernet)
  • L3(Layer 3) : 3계층 - 네트워크계층을 의미함 (IP)
  • L4(Layer 4) : 4계층 - 전송계층을 의미함 (TCP/UDP..)
  • L7 (Layer 7) : 7계층 - 어플리케이션계층을 의미함 (Application Protocol - HTTP, asp등)

패킷의 종류 및 얻을 수 있는 정보

  • L2(Layer 2) : 2게층 - SRC MAC 주소, DST MAC 주소
  • L3(Layer 3) : 3계층 - SRC IP 주소, DST IP 주소 
  • L4(Layer 4) : 4계층 - SRC PORT 번호, DST PORT 번호 (스위치의 물리적인 포트번호 의미가 아님 소켓연결시에 사용하는 PORT번호를 의미함)
  • L7 (Layer 7) : 7계층 - 패킷의 Payload 정보

각각의 정보는 포함 관계에 속한다. L7 > L4 > L3 > L2 순으로 


최초 작성일 : 12/20/15 

최종 수정일:  12/20/15
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